IT 뉴스

인텔 AMD ARM 3사 CPU의 버그.인텔 성능감소.

TundraMC 2018. 1. 4. 19:25

현재 컴본갤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인텔 CPU 보안상의 결함과 결햄 해결 패치로 인해 발생한 성능 저하 이슈에 대해 가만히 있을수는 없기에 저도 몇자 끄적여봅니다.(이미지 펌 하드웨어배틀)


이번 사태는 한가지가 아니라 두가지의 결함때문에 생긴 사태입니다.

두 결함 모두 Out-of-Order 방식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결함입니다. 아톰역시 실버몬트 아키텍처(베이트레일 이후)부터 비순차 연산을 지원했으니 사실상 대부분의 윈도우 태블릿 역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데스크탑 cpu 역시 비순차 실행은 아주 오래전-1997년 외환위기도 발생하기 전-부터 지원해 왔으니,사실상 현역으로 사용되는 모든 CPU들은 다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중 Meltdown결함 패치가 이번 인텔의 I/O 성능 50%저하를 야기한 패치이고요,AMD와 VIA(이당시는 Cyrix), SiS는 아주 옛날에 인텔 라이선스 CPU 생산을 포기한뒤 독자 아키텍처로 변경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공격 시도를 할 수는 있지만 공격 시도가 성공한 적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실상 인텔에게만 해당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뭐 지금 ARM Coretex A75 역시도 멜트다운으로 털렸다는 풍문이 있긴 한데 여하튼 AMD와는 아직은 관계가  없습니다.


또 다른 버그인 Spectre 버그는 https://goo.gl/RSqdYK 하베 TopSpoiler 님께서 간단히 요약을 해주셨네요. 대충 이런 방식입니다.

뭐 지금 인텔이 암드도 문제 있다고 걸고 넘어지는게 이 결함인데, 인텔을 제외한 다른 회사에서 언급되는 버그가 바로 이 버그입니다. 이 결함은 현재 사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멜트다운 버그보다 실제로 악용하는게 힘든 방식이고,무엇보다 이번 인텔 성능저하 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버그입니다.


멜트다운과 스펙터 결함을 구분해야 인텔의 물귀신 작전이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 공식 발표문을 보고 이게 어디까지가 진짜이고 가짜인지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올려봅니다.


정리


AMD:아직은 안털림.그러나 가능성 자체는 있음. 성능저하 X (애초에 문제가 없어서 패치 목록에서 제외됨.)


인텔:이미 멜트다운 구현성공. 보안 패치로 상당한 (특히 I/O 대역폿) 성능 감소 발생.

인텔 CPU를 사용하는 데이터 서버들만 대역폭 절반으로 떨어져서 피똥싸게 생김.


ARM:Coretex-A57은 멜트다운으로 털렸다는 SSUL이 있음.